2.10 import문
설명
일부 기능은 hrspace 내장 기능으로서는 기본 제공하지 않지만, 플러그인 모듈(plug-in module)의 형태로 지원되기도 합니다.
hrscript의 일부 기능은 hrscript가 기본으로 제공하지 않지만, 플러그인 모듈(plug-in module)의 형태로 지원하기도 합니다. 기본 옵션으로서 미리 설치되어 있는 모듈도 있고, 사용자가 설치해주어야 하는 모듈도 있습니다.
모듈은 import
문을 써서 제어기로 load 해야만 로봇언어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문법
import <모듈명> [as <별칭>]
파라미터
모듈명
모듈의 이름
별칭(alias)
로봇언어 프로그램 내에서 사용할 이름. 지정하면 모듈명 대신 사용 가능.
가령, 로봇언어에서 이더넷 TCP나 UDP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enet
이라는 기본 옵션 모듈을 import
해야 합니다.
import
를 수행하고 나면, enet
이라는 이름의 모듈 객체가 전역 스코프(global scope)에 생성됩니다. 아래 예제의 enet.ENet()
와 같이 모듈 객체의 멤버변수나 멤버함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멤버함수 중 생성자를 호출하여 새로운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사용 예
아래 예에서는,
(1) enet
모듈 객체를 import
했습니다.
(2) enet.ENet()
생성자 함수를 호출하여 새로운 이더넷 소켓 객체를 생성한 후 이를 cli
라는 이름의 지역변수에 대입했습니다.
(3) cli
객체의 ip_addr
멤버변수에 문자열을 대입했습니다.
아래와 같이 작성해도 동일한 동작을 수행합니다.
이 절에서는
import
문에 대한 개략적인 문법만 다루었습니다. 이 후, 모듈 기능들을 설명하는 절에서import
의 사용 예를 자주 보게 될 것입니다.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